피부양성종양
「 피부양성종양 」
BEST FOR U SURGICAL CLINIC
-
표피낭종(피지낭종)
표피낭종은 가장 흔한 양성 종야 중 하나이며 피지의 배출구가 막히면서 주머니를 형성하고 여기에 피지가 쌓이면서 덩어리가 생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튀어나온 혹 모양을 띠며 자세히 보면 중앙부에 작은 구멍이 보입니다.
원인
표피낭종은 심상성 여드름 환자에게서 모낭의 입구 부위가 피부에 막히면서 생기기도 하며, 표피가 피부 깊숙이 떨어져 들어가 증식하면서 생기기도 합니다.
증상
표피낭종은 거의 모든 피부 부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직경이 1~5cm 정도입니다. 중심부에는 면포와 같은 구멍이 있으며 짜면 악취가 나면서 치즈같이 생긴 물질이 배출됩니다. 주로 얼굴, 목, 귀 근처에 발생합니다.
-
모기질종
모기질종이란 소아에게 가장 흔한 양성종양 중 하나이며 모낭에 있는 모기질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이라 모기질'종'이라는 이름이 붙혀졌습니다.
원인
모기질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모낭과 관련되어 조직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세포증식이 일어나 종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증상
모기질종은 만지면 피부 심부에서 딱딱한 결절을 만질 수 있으며 정상적인 표피로 덮여 있고 10대 여성에 호발하며 팔, 얼굴, 목이 주요 발생부위이며 머리, 다리에도 발생합니다.
-
지방종
지방종이란 성숙된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종양으로 얇은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보통 몸통, 허벅지, 팔 등과 같이 정상적인 지방 조직이 있는 피부 아래 조직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원인
지방종의 원인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부의 경우 가족성 지방종증처럼 유전성 경향이 있으며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피하 지방종이 특정 유전성 질환의 한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증상
지방종은 주로 1~3cm 크기인 경우가 많으며 피부 바로 밑에서 잘 움직이고 부드러운 고무공처럼 만져지게 되며 일반적으로 통증은 없으며 오랫동안 크기 변화가 없거나 서서히 자라서 10cm 이상의 거대 지방종이 되기도 합니다.
-
화농성 육아종
화농성 육아종이란 피부나 구강 점막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모세관 혈관종이라는 혈관종의 일종입니다.
원인
대부분의 화농성 육아종은 긁힘이나 화상과 같은 경미한 부상 후에 발생하며 일부 환자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임산부는 특히 입술에 생기기 쉽습니다.
증상
일반적으로 둥글고 표면이 밝은 빨간색인 종양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위치는 코, 입술, 입, 피부입니다.
-
피부섬유종
피부섬유종은 붉은색에서 갈색을 띄는 작은 돌기이며, 피부의 진피층에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진 양성종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인
일종의 만성적인 피부 자극이나 염증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반응하여 진피층의 콜라겐 다발이 축적되어 생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증상
주로 팔과 다리에 많이 생기며 갈색 빛을 띠면서 0.5cm~1.5cm 크기의 단단한 결절성 병변으로 나타나며 무증상이 많으나, 가끔 아프거나 가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
비립종
피부의 얕은 부위에 발생하는 1mm내외의 흰색 혹은 노란색을 띠는 공모양의 작은 각질 주머니입니다.
원인
비립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어떤 질환이 나타난 후에 발생하며 원발성 비립종, 속발성 비립종으로 나누어집니다. 원발성은 뺨이나 눈꺼풀에 잘 생기며 속발성 비립종은 피부 손상에 따른 낭종입니다.
증상
백색이나 황색의 얕은 각화 낭종으로 1~2mm의 둥근 구진이 뺨과 눈꺼풀 등에서 발생하며 속발성 비립종은 질환이 있었던 부위에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