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질환
「 유방 질환 」
BEST FOR U SURGICAL CLINIC
-
유선염과 유방농양
유선염과 유방농양은 여성들이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치료가 잘되나, 수유기와 비 수유기에 발생한 염증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방법이 다르므로 관심이 필요합니다.
원인
수유기에 생기는 유방의 염증은 아기의 입속의 세균이 유두를 통하거나 상처를 통해 염증과 고름을 만들게 되며 비수유기에는 대개 당뇨병이나 몸의 저항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유두를 통해 세균이 감염되어 생기게 됩니다.
증상
처음에는 열이 나고 유방의 한 부분이 아프고 붉어지며 조직이 녹고 고름 집이 만들어져 아프고 물렁물렁한 멍울을 형성하게 됩니다.
-
섬유선종
섬유선종은 섬유조직과 유방의 상피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자라면서 서서히 커지는 20세 부터 50세 사이의 여성에게 가장 흔한 유방의 양성 종양입니다.
원인
젖을 분비하는 유선의 말단부위인 유선 소엽의 과다한 증식과 이에 따른 유방조직의 변형때문에 생기게 됩니다.
증상
통증이 없으며, 둥글거리거나 혹은 몇 개의 작은 결절들이 뭉쳐져서 만져지는 듯한 모양이며, 비교적 딱딱한 느낌을 받지만 유방의 피부가 함몰되거나 변형되지는 않습니다.
-
유방통
유방통은 주기적 통증과 비주기적 통증으로 나뉘는데 주기적 통증은 황체기 후반부터 생리기에 걸쳐 유방이 아프거나 가볍게 부으며 비주기적 통증은 생리주기와는 관련이 없는 유방통증으로 유방암 환자의 3%는 비주기적 통증으로 인해 발견되므로 정확한 유방 검진은 꼭 필요합니다.
원인
주기적 유방통의 경우 새리주기에 따른 호르몬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비주기적 유방통은 유방 낭종, 유선염 등의 양성질환과 유방암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대개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따끔거리고 뻐근하고 쑤시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며 멍울이 만져지면서 통증이 느껴지면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섬유낭종성질환
쉽게 말하면 젖 멍울이 뭉친 것으로 대부분 멍울은 월경 전에 딱딱하게 잡혔다가 월경이 끝나면 풀어져 부드럽게 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심한 경우 통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
섬유낭종성 질환의 원인은 여성호르몬의 분비의 변화 때문입니다. 스트레스 등 여러 이유로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균형을 잃고 이런 불균형이 지속되면 섬유질과 유선이 비대해지면서 유방의 통증을 일으키는 섬유낭종성 질환이 됩니다.
증상
유방의 변화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배란기부터 생리 기간 전까지 유방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은 한쪽 유방, 혹은 유방의 한 부분에서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여성형 유방
여성형 유방증(여유증)은 남성에게 여성과 같은 모양의 유방이 관찰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성형 유방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유선조직의 증식, 하나는 지방이 축적되어 생기는 가성 여성형 유방입니다.
원인
만성질환, 종양, 약물, 그외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 수치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증상
가슴에 멍울 같은 것이 있으며 유방을 만졌을 때 단단한 몽우리가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슴을 만질 대 통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
부유방
부유방은 원래 있어야 할 유방 한쌍 외에 유방조직이 가슴이 아닌 다른 부위에 더 존재하는 것을 말하며 여성의 2~6%에서 발견되는 질환입니다.
원인
태아가 성장함에 따라 가슴부위를 제외한 유선의 뿌리가 퇴화하여 한쌍만 남게 되는데 가슴 조직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 유선의 뿌리가 남게 되면서 부유방이 형성되게 됩니다.
증상
부유방이 있는 부위에 멍울이 잡히거나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임신과 수유 과정을 겪을 때 유선조직이 단단해지며 겨드랑이가 볼록해지고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
유두분비
하나 또는 두 유두에서 새어 나오는 체액을 유두 분비물이라고 하며 양쪽 유방에서 분비물이 나오거나 한쪽 유방의 여러 유관에서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호르몬 질환 또는 측정 약물 사용과 같은 문제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인
유두 분비는 임신이나 출산 후 또는 수유 시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우울증약 등 유두 분비를 유발하는 약물을 복용했을 경우, 유두 분비의 원인 질환을 가지고 있을 경우 피가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
유방암과 관계과 적은 분비물은 우윳빛, 고름(농) 형태의 분비물이 나타나며 유방암 의심 분비물은 깨끗한 물 형태나 노란빛을 내는 액체, 핑크빛 혹은 핏빛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유두종
유두종은 양성유방 종양의 약 1~4%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히 발견되는 종양으로 단일성 유두종은 유방암의 위험이 낮지만, 혈성분비물이 동반된 다발성 말초 유두종인 경우에는 유방암 발생률이 높은 고위험 병변으로 분류합니다.
원인
단일성 관내 유두종은 35~55세의 폐경기 전 후 여성에 많이 발생하며 다발성 말초유두종은 더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있으며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증상
유두종은 대부분 0.5cm 이하의 작은 크기로 발생하기 때문에 자가 검진으로 발견하기 어려우며 종양이 유선을 막기도 하며 한 쪽 젖꼭지에서 핏빛이거나 끈적끈적한 분비물이 나오기도 합니다.